자격증/정보처리기사 📌 인터페이스 구현/인터페이스 예외 처리/인터페이스 보안
  • 728x90
    반응형

     

    목차

       

      인터페이스 구현

      📌 인터페이스 구현은 송/수신 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실현해 주는 작업을 의미한다.

       

      • 정의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기반으로 구현 방법 및 범위 등을 고려하여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을 분석한다.
      • 분석된 인터페이스 구현 정의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에는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방법과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 인터페이스 엔티티 ? 인터페이스 개체라고 하며, 여기서는 인터페이스 구현 클래스라고 생각하자.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은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 인터페이스 형식에 맞춘 데이터 포맷을 인터페이스 대상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 측에서 파싱(Parsing)하여 해석하는 방식이다.

       

      • 주로 JSON이나 XML 형식의 데이터 포맷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 예) JSON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순서

      1. 인터페이스의 객체 생성 및 전송을 위해 인터페이스 객체를 생성할 데이터를 각 시스템 및 환경에 맞게 선택한다.
      2. 선택한 데이터를 JSON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객체를 생성한다.
      3. 송신 측에서 JSON으로 생성한 인터페이스 객체를 AJAX 기술 등을 이용하여 수신 측으로 보낸다.
      4. 수신 측에서 인터페이스 객체를 수신해 파싱한 후 처리한다.
      5. 수신 측에서 송신 측에 결과를 보낸다.

       

      💡 파싱(Parsing) ? 주어진 문장이 정의된 문법 구조에 따라 완전한 문장으로 사용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말한다. 인터페이스 객체를 생성할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정보를 SQL을 통해 선택한 후 JSON으로 생성한다.

       

      •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 JSON은 속성-값 쌍(Attribute-Value Pairs)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객체를 전달하기 위해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테스트를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이다.
        • 비동기 처리에 사용되는 AJAX에서 XML을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XML은 특수한 목적을 갖는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이다.
        • 웹 페이지의 기본 형식인 HTML의 문법이 각 웹 브라우저에서 상호 호환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와 SGML의 복잡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 AJAX는 자바 스크립트(JavaScript) 등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XML 데이터를 교환 및 제어함으로써 이용자가 웹 페이지와 자유롭게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비동기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 마크업 언어(markup, markup language)는 태그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의 한 가지이다. 태그는 원래 텍스트와는 별도로 원고의 교정부호와 주석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용도가 점차 확장되어 문서의 구조를 표현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 SGML(Stan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전자문서들을 다른 기종의 시스템들과 정보의 손실 없이 효율적으로 전송, 저장 및 자동 처리하기 위한 언어이다.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은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시스템 사이에 별도의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두어 상호 연계하는 방식이다.

       

      •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엔티티로 활용한다.
      • 인터페이스 테이블은 한 개 또는 송신 및 수신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각각 두어 활용한다.
      • 송신 및 수신 인터페이스 테이블의 구조는 대부분 같지만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계할 수도 있다.

       

      🔔 예)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순서

      1. 인터페이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기록한다(Write).
      2. 송신 측 인터페이스 테이블에서 정해진 주기에 따라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전송한다.
      3. 수신 측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인터페이스 데이터가 입력되면 정해진 주기에 따라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읽는다(Read).
      4. 수신 측 인터페이스 테이블에서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읽은 후 사전에 정의된 데이터 트랜잭션을 수행한다.

       

      💡 인터페이스 데이터 기록(Write)은 데이터 무결성 유지 및 인터페이스 이력 관리 등을 위해 삽입(Insert)만 가능하고 수정(Update) 및 삭제(Delete)는 불가능하다.
      💡 정해진 주기 : 일반적으로 정해진 주기는 즉시, 주기적, 특정기간 이후 등이 있다.
      💡 인터페이스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DB Connection이 수신 측 인터페이스 테이블과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프로시저(Procedure)나 트리거(Trigger)등을 통해 수신 인터페이스 테이블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의 개요

      📌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는 구현된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기능상 예외 상황이 발생 했을 때 이를 처리하는 절차를 말한다.

       

      •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방법과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방법은 JSON, XML 등 인터페이스 객체를 이용해 구현한 인터페이스 동작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인터페이스 객체의 송/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케이스를 정의하고 각 예외 케이스 마다 예외 처리 방법을 기술한다.

       

      • 시스템 환경, 송/수신 데이터, 프로그램 자체 원인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예외 상황이 발생한다.

       

      🔔 예1) 인터페이스 객체 송신 실패 시 예외 처리 방안

      구분 예외 상황 예외 처리 방안
      시스템 환경 네트워크 불안정 - POST 이후 오류 메시지를 확인한다.
      - 서버를 찾지 못하는 404 오류일 경우 네트워크 또는 서버 상태를 확인한다.
      송신 데이터 송신 데이터 크기, 데이터 정합성 체크 오류 발생 - 송신 데이터의 원활한 전송을 위해 사전에 데이터를 정제한다.
      - 데이터 송신 시 데이터 크기 및 정합성을 체크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미리 예방한다.
      프로그램 자체 원인 송신 데이터 생성 시 프로세스의 논리적 결함 - 논리적 결함을 수정한다.
      - 충분한 테스트를 통해 사전 예방한다.
      - 프로세스에 따라 예상되는 예외를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해 알려 준다.

       

      💡 정합성은 모순 없는 정확한 특성을 의미하는 용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항상 정확해야 한다는 특성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 예2) 인터페이스 객체 수신 실패 시 예외 처리 방안

      구분 예외 상황 예외 처리 방안
      시스템 환경 네트워크 및 서버 불안정 입력 대기 큐에 요청을 적재한 후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서버가 정상적으로 가동될 때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수신 데이터 특수문자 등으로 파싱 시 오류 발생 특수문자 입력 케이스를 미리 파악한 다음 파싱 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문자로 우선 대치하고 이후에 다시 처리한다.
      프로그램 자체 원인 수신 데이터 처리 시 프로그램의 논리적 결함 - 논리적 결함을 수정한다.
      - 충분한 테스트를 통해 사전 예방한다.
      - 프로세스에 따라 예상되는 예외를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해 알려 준다.
      - 예외상항이 수신되지 않도록 송신측 프로그램을 수정한다.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예외 처리 방법은 인터페이스 동작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하여 해당 엔티티에 인터페이스의 실패 상황과 원인 등을 기록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사용자 및 관리자에서 알려주는 방식으로 예외 처리 방법을 정의한다.

       

      🔔 예1) 송신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기능 실패 시 예외 처리 방안

      프로세스 예외 상황 예외 처리 방안
      인터페이스
      데이터 생성
      - 선택 SQL, 프로그램 오류
      - 데이터 객체 생성 오류
      - 오류 발생 시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해 알려준다.
      - 예외 케이스의 재발 방지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선한다.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입력
      - 입력 SQL 오류
      - 데이터 정합성 오류
      - 입력 실패 결과와 원인을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기록한다.
      - 입력 실패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해 알려준다.
      - 예외 케이스의 재발 방지를 위해 프로그램을 개선한다.
      인터페이스
      데이터 전송
      DB Connection 오류 - 통신 결과를 통해 인터페이스 실패 결과와 원인을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기록한다.
      - 인터페이스 실패 결과와 원인을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이메일 등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 주체의 논리적 오류 - 인터페이스 실패 결과와 원인을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기록한다.
      - 인터페이스 실패 결과를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이메일 등으로 전송한다.
      - 예외 케이스의 재발 방지를 위해 프로그램을 개선한다.

       

      💡 DB Connection은 수신 시스템의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에서 송신 시스템 데이터베이스(DB)로 연결해주는 시스템 연계 기술을 의미한다.

       

       

      🔔 예2) 수신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기능 실패 시 예외 처리 방안

      프로세스 예외 상황 예외 처리 방안
      인터페이스
      데이터 읽기
      데이터 선택 시 오류 - 수신 측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해 예외사항을 알려준다.
      -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예외사항을 기록한다.
      - 재발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개선한다.
      데이터
      트랜잭션
      데이터 트랜잭션 시 프로그램의 논리상 오류 -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해 예외사항을 알려준다.
      -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예외사항을 기록한다.
      - 재발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개선한다.
      처리 결과 응답 DB Connection 오류 -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예외사항을 기록한다.
      - 송/수신자에게 이메일 등으로 예외사항을 알려준다.

       

       


       

       

      인터페이스 보안의 개요

      • 인터페이스는 시스템 모듈 간 통신 및 정보 교환을 위한 통로로 사용되므로 충분한 보안 기능을 갖추지 않으면 시스템 모듈 전체에 악영향을 주는 보안 취약점이 될 수 있다.
      • 인터페이스 보안성 향상을 위해서는 인터페이스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한 후 적절한 보안 기능을 적용한다.

       

       

      인터페이스 보안 취약점 분석

      • 인터페이스 기능이 수행되는 각 구간들의 구현 현황을 확인하고 각 구간에 어떤 보안 취약점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 인터페이스 기능이 수행되는 각 구간의 구현 현황은 송/수신 영역의 구현 기술 및 특징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한다.
      • 확인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기반으로 송신 데이터 선택, 송신 객체 생성, 인터페이스 송/수신 데이터 처리 결과 전송 등 영역별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을 시나리오 형태로 작성한다.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 적용

      • 분석한 인터페이스 기능과 보안 취약점을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을 적용한다.
      •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영역에 적용한다.
      네트워크 영역 - 인터페이스 송/수신 간 스니핑(Sniffing) 등을 이용한 데이터 탈취 및 변조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암호화를 설정한다.
      - 암호화는 인테페이스 아키텍처에 따라 IPSec, SSL, S-HTTP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한다.
      애플리케이션 영역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가이드를 참조하여 애플리케이션 코드 상의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애플리케이션 보안 기능을 적용한다.
      데이터베이스 영역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엔티티의 접근 권한과 프로시저(Procedure), 트리거(Tigger) 등 데이터베이스 동작 객체의 보안 취약점에 보안 기능을 적용한다.
      - 개인 정보나 업무상 민감한 데이터의 경우 암호화 익명화 등 데이터 자체의 보안 방안도 고려한다.

       

      💡 스니핑(Sniffing) : 네트워크의 중간에서 남의 패킷 정보를 도청하는 해킹 유형의 하나로 수동적 공격에 해당한다. 네트워크 내의 패킷들은 대부분 암호화되어 있지 않아 스니핑 같은 해킹 기법에 이용당하기 쉽다.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 애플리케이션 소스 코드에 존재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 발견, 제거, 보안을 고려한 기능 설계 및 구현 등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지켜야 할 일련의 보안 활동으로 시큐어 코딩(Secure Coding)이라고도 불린다.

      💡 IPsec(IP Security) : 네트워크 계층에서 IP 패킷 단위의 데이터 변조 방지 및 은닉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 SSL(Seceure Sockets Layer) : TCP/IP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 사이에서 인증, 암호화, 무결성을 보장하는 프로토콜이다.
      💡 S-HTTP(Secure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전송되는 모든 메시지를 암호화 하는 프로토콜이다.

      💡 트리거(Trigger) : 트리거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입력, 갱신, 삭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절차형 SQL을 의미한다.
      💡 데이터 익명화 : 데이터에 포함된 개인 식별 정보를 영구적으로 삭제하거나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무결성 검사 도구

      • 데이터 무결성 검사 도구는 시스템 파일의 변경 유무를 확인하고, 파일이 변경되었을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도구로, 인터페이스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 크래커나 허가 받지 않은 내부 사용자들이 시스템에 침입하면 백도어를 만들어 놓거나 시스템 파일을 변경하여 자신의 흔적을 감추는데, 무결성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이를 감지할 수 있다.
      • 해시(Hash) 함수를 이용하여 현재 파일 및 디렉터리의 상태를 DB에 저장한 후 감시하다가 현재 상태와 DB의 상태가 달라지면 관리자에게 변경 사실을 알려준다.
      • 대표적인 데이터 무결성 검사 도구에는 Tripwire, AIDE, Samhain, Claymore, Slipwire, Fcheck 등이 있다.

       

      💡 크래커(cracker)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무단 침입해서 파괴/변조 등의 악의적 행위를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 백도어(backdoor)는 일반적인 인증과 암호화를 위회(bypassing)해 원격 접속 및 암호화된 텍스트에 대한 권한을 취득하는 등 은밀히 행하는 전형적인 방법을 일컫는다.
      💡 해시 함수(hash function) 또는 해시 알고리즘(hash algorithm)은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이다. 해시 테이블이라는 자료구조에 사용되며, 매우 빠른 데이터 검색을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널리 사용된다.
      💡 트립와이어(Tripwire)는 시스템의 특정한 파일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알림을 해주는 유용한 보안 그리고 무결성 도구이다.
      💡 AIDE(Advanced Intrusion Detection Environment)는 시스템에 파일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 다음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파일 무결성을 확인하고 시스템 침입을 탐지하는 도구이다.
      💡 Samhain, Claymore, Slipwire도 AIDE와 비슷한 무결성 도구이다.
      💡 Fcheck는 사용자가 설정한 디렉터리, 파일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자장하고 있다가 정해진 시간마다 파일 시스템을 체크하여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파일 변조)을 체크하는 프로그램이다.

       

       

       

       

      728x90
      반응형
    상단으로